분류 전체보기 1254

사도행전 25장 - 가이사에게 항소하다

샬롬! 참 좋은 아침입니다!! 벨릭스에 이어 베스도가 유대 총독으로 부임했습니다. 신임 총독 베스도가 인사차 예루살렘을 방문했습니다. 베스도를 만나 인사하는 자리에서 대제사장들과 유대 지도자들이 바울을 고소했습니다. 그러면서 가이사랴에 있는 바울을 예루살렘에서 재판하게 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바울이 가이사랴에서 예루살렘으로 이송되는 경우, 길목을 지키고 있다가 습격해서 바울을 죽이려는 음흉한 흉계를 숨긴 채, 그런 요청한 것입니다. 그러자 베스도는 유대 지도자들에게 자신과 함께 가이사랴에 가서 바울을 고소하라고 답변합니다. 베스도의 말대로 대제사장을 비롯한 유대인들은 가이사랴에 가서 바울을 고소했고, 베스도는 바울에게 예루살렘에 가서 재판 받을 것을 권합니다. 그러자 바울은 베스도 앞에서 황제에게 항소합..

새벽 묵상 2022.03.06

사도행전 24장 - 탐욕의 사람, 벨릭스

샬롬! 참 좋은 아침입니다!! 바울사도가 가이사랴로 이송되자, 대제사장 아나니아는 몇몇 장로들과 변호사 더둘로를 대동하고 가이사랴로 왔습니다. 아나니아는 더둘로를 통해 바울을 총독 벨릭스에게 고소했습니다. 아나니아는 바울을 로마제국에 대해 정치적으로 선동을 일삼는 폭도라고 고소했습니다. 이것은 다분히 의도적인 것이었습니다. 벨릭스가 유대의 총독으로 재임하고 있던 당시 소요사태가 있었고, 그 주동자를 처형한 전례가 있었습니다. 이 사실을 알고 있던 변호사 더둘로는 동일한 죄목으로 바울을 고소해서 동일한 방식으로 처형할 셈이었습니다. 또 더둘로는 바울을 나사렛 이단의 우두머리 즉 당시 메시아로 자칭하면서 사람들을 미혹했던 이단자 중의 하나라고 고발했습니다. 끝으로 바울을 성전을 모독하는 자라고 고발하였습니다..

새벽 묵상 2022.03.06

사도행전 23장 - 가이사랴로 이송되는 바울

샬롬! 참 좋은 아침입니다!! 천부장은 왜 유대인들이 바울을 고소하는지 그 정확한 이유를 알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일단 산헤드린 공의회에 넘겨 진상을 파악하려고 했습니다. 산헤드린 공의회는 로마가 이스라엘을 통치하기 위해 만들어 준 일종의 의회같은 것으로 회원은 70여명이었습니다. 주로 사두개인들과 바리새인들로 구성되었습니다. 바울은 산헤드린 공의회에서도 거침없이 자신의 입장을 밝혔습니다. 특별히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중심으로 자신의 소신을 밝혔습니다. 그러자 부활을 믿는 바리새인들과 부활을 믿지 않는 사두개인들 사이에 논쟁이 일어나기도 했습니다. 천부장은 유대인들이 바울에 대해 적개심을 갖고 있는 이유가 종교적인 문제라는 것을 알았지만, 그렇다고 로마시민권자인 바울의 안전에 대해 소홀할 수도 ..

새벽 묵상 2022.03.06

사도행전 22장 - 바울의 간증

샬롬! 참 좋은 아침입니다!! 체포된 바울은 천부장에게 발언권을 요청합니다. 그러자 천부장은 깜짝 놀랍니다. 이유는 바울이 아주 유창한 헬라어를 구사했기 때문입니다. 천부장은 바울을 비루한 폭도 정도로 생각하고 있다가 바울의 입에서 유창한 헬라어가 나왔기 때문입니다. 당시 이스라엘 민초들은 주로 아람어를 사용했고, 헬라어를 구사하는 것은 소수의 지식인들 뿐이었습니다. 발언권을 얻은 바울은 히브리어로 군중들을 향해 간증하기 시작했습니다. 바울은 자신이 길리기아 다소에서 출생하고 성장했으며 엄격한 바래새인으로 훈련 받아 율법에 충실한 사람이었다고 말합니다. 그런 자신에게 예수를 따르는 자들에 대해 당연히 적개심을 가질 수 밖에 없었고, 그래서 닥치는 대로 감옥에 가두고 죽이기까지 했다고 말합니다. 그런 삶에..

새벽 묵상 2022.03.06

사도행전 21장 - 예루살렘에 도착하다

샬롬! 참 좋은 아침입니다!! 바울 사도가 예루살렘행을 강행할 때, 믿음의 지체들은 모두 반대했습니다.예루살렘과 로마를 거쳐 이베리아 반도에 가서 복음을 전하고자 했던 바울의 계획은 훌륭하지만, 바울의 안전을 염려하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바울은 예루살렘으로 가는 길에 두로에서 일주일 머물렀는데, 두로의 그리스도인들도 바울의 예루살렘행을 간곡하게 막았습니다. 바울의 강력한 의지를 확인한 두로의 그리스도인들은 어쩔 수없이 부두까지 배웅했고, 바울이 배에 오르기 전 바닷가에서 무릎꿇고 바울을 위해 간절히 기도했습니다. 바울이 두로를 떠나 톨레마이에 도착해서는 초대예루살렘교회 일곱 집사 중에 한 명이었던 빌립의 집에 머물렀습니다. 아가보라는 사람이 빌립의 집을 찾아와 바울의 허리 띠로 자신의 손과 발을..

새벽 묵상 2022.03.06

사도행전 20장 - 위대한 계획

샬롬! 참 좋은 아침입니다!! 바울 사도는 3년간의 에베소 사역을 마치면서 새로운 계획을 세웁니다. 생애 마지막 미션으로 예루살렘을 거쳐 로마 그리고 이베리아 반도에 가서 복음을 전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상황이 최악이었습니다. 당시 예루살렘에는 바울을 죽이기 전에는 먹지도 마시지도 않겠다는 자들이 40여명이나 있었습니다. 그리고 유대인들이 사는 곳이면 어디서나 바울을 죽이려는 자들이 있었습니다. 바울은 에베소에서 배를 타고 예루살렘으로 갈 계획이었습니다. 그것이 예루살렘으로 가는 가장 간편하고 일방적인 방법이었습니다. 그런데 바울은 신변의 위협 때문에 그렇게 할 수 없었습니다. 바울을 죽이려는 자들이 바울 일행의 계획을 미리 알고 암살 계획을 세우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바울 사도는 에베소에서 ..

새벽 묵상 2022.03.06

사도행전 19장 - 브리스길라와 아굴라

샬롬! 참 좋은 아침입니다!! 위대한 사도 바울 뒤에는 수 많은 조력자들이 있었습니다. 그 중에 브리스길라와 아굴라 부부를 빼 놓을 수없습니다. 특별히 바울의 고린도 사역과 에베소 사역 그리고 이어지는 로마사역에서 브리스길라와 아굴라 부부의 역할은 절대적이었습니다. 브리스길라와 아굴라 부부는 로마 글라우디오 황제 박해 때, 로마를 떠나 고린도에 정착했습니다. 바울과 같은업에 종사하다 만나 동역하게 되었습니다. 바울사도가 고린도에서 에베소로 사역지를 옮길 때는 바울보다 먼저 에베소로 건너가서 거처와 사역에 필요한 모든 것을 준비합니다. 바울사도가 에베소에 도착하자마자 사역할 수 있게 도왔습니다. 에베소에서도 브리스길라와 아굴라 부부는 바울의 사역을 헌신적으로 돕고, 아볼로에게 하나님의 도를 가르쳐 고린도교..

새벽 묵상 2022.03.06

사도행전 18장 - 바울의 자비량 선교

샬롬! 참 좋은 아침입니다!! 가끔 자비량 선교 혹은 자비량 사역을 대단히 이상적이라고 주장하시는 분들을 봅니다. 그러면서 상대적으로 후원 받아 사역하는 것을 약간 평가절하하는 듯한 뉘앙스로 말씀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 근거로 바울 사도가 그렇게 사역했다고 주장합니다. 그 주장은 부분적으로 맞고 부분적으로 틀립니다. 바울 사도가 고린도에서 자비량 사역을 한 것은 맞습니다. 그런데 자비량 사역이 이상적이기 때문에 자비량 사역을 한 것은 아닙니다. 바울은 고린도에서만 자비량 사역을 했고, 그 외의 지역에서는 후원을 받아 사역했습니다. 바울 사도가 고린도에서 자비량 사역을 한 이유는 소피스트로 오해 받지 않기 위해서였습니다. 당시 고린도에는 어린아이들에게 웅변술과 수사학, 논리학들을 가르쳐 주고 돈을 받는..

새벽 묵상 2022.03.06

사도행전 17장 - 알지 못하는 신들에게

샬롬! 참 좋은 아침입니다!! 제 2차 선교여행에 나선 바울과 실라는 데살로니가와 베뢰아을 거쳐 아덴에 도착합니다. 아덴은 당시 로마, 알렉산드리아와 함께 세계 3대 도시로 손꼽혔습니다. 헬라문명의 중심이며 철학의 본고장이기도 했습니다. 헬라철학에 능했던 바울은 나름 많은 기대를 했습니다. 철학이라는 공감대를 통해 많은 사람들과 소통하며 자연스럽게 복음을 전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바울은 거리에 나가 에비구레오와 스도이고 철학자들과 대화 했습니다. 에비구레오는 에피쿠로스 철학자들을 말하는 것으로 쾌락을 삶의 최고의 선으로 여기는 사람들입니다. 창조를 부인했고, 사후의 심판이나 내세를 믿지 않았습니다. 반면 스도이는 스토아 철학자들을 말하는 것으로 금욕적인 삶을 지향했습니다. 범신론적 신관을 가진..

새벽 묵상 2022.03.06

사도행전 16장 - 사람보다 돈이 더 중요하다?

샬롬! 참 좋은 아침입니다!! 바울과 실라가 함께 떠난 제 2차 선교여행 당시 빌립보에서 일어 난 일입니다. 귀신들린 한 여종이 있었습니다. 여종은 귀신의 능력을 빌어 사람들에게 점을 쳐주고 많은 수익을 올렸습니다. 그런데 그 여종이 번 돈은 모두 주인의 주머니로 들어갔습니다. 당시 종은 사람이 아니라, 말하는 짐승에 불과했고 주인의 소유물이었기 때문입니다.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그 여종의 몸 안에 있던 귀신을 내쫓아 버렸습니다. 귀신이 나가자 더 이상 여종은 점을 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여종이 비로소 귀신으로 부터 자유케 되었습니다. 여종은 더 이상은 귀신의 하수인이 아니라, 자신의 삶을 살게 되었습니다. 당연히 여종은 안도하고 기뻐했습니다. 그런데 이 일을 보고 기뻐하기는 커녕 화를 머리..

새벽 묵상 2022.03.05